본문 바로가기

IT.정보

네트워크 기초 - IP (Internet Protocol)

아날로그 시대를 벗어나 현재는 디지털 시대로 바뀌어가고 있죠!?

​그리고 인터넷 기반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IP에 대한 정보는 중요합니다 매우매우!!

 

오늘은 네트워크 기초인 I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네트워크 기초 - IP (Internet Protocol)

 

★ IP (Internet Protocol)

현재 IP주소는 대부분 IPv4형태를 사용하고 있으며 3자리 숫자가 4마디를 구성하고 있다.

(예시 : 192.192.192.192) 총 12개 숫자를 표기할 수 있으며 각 마디마다 255를 넘을 수 없다.

IPv4 인터넷 프로토콜 (4세대 프로토콜)이며 첫번째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IPv4의 주소 체계는 총 12자리이며 네 부분으로 나뉜다.

각 부분은 0~255까지 3자의 수로 표현되며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어있다.

IPv4는 전세계적으로 사용하여 IP할당이 부족하여 IPv6의 주소체계를 사용한다

ex) “192.168.244.1”

 

IPv6체계는 128비트 주소 체계이며 (6세대 프로토콜)이다.

주소 체계는 총 8자리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 복합적으로 되어있다.

IPv4의 주소체계가 부족하여 현재는 IPv6체계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

 

★ 공인IP주소

공인기관에서 인증한 공개형 IP주소

인터넷 유무선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는 한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IP주소는 공인 IP

외부에 공개 되어 있어 다른 컴퓨터 등에서 검색, 접근이 가능하다.

공인 IP주소를 사용하려면 보안 장비 (방화벽 등)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가정집에 가입한 인터넷 회사에서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에 사용 가능

 

★ 가상IP주소 (내부망)

공인 IP주소를 받아서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IP주소를 배정 (내부망)